<유퀴즈 온 더 블럭 278회>는 설 특집으로 진행이 되었어요. 다양한 사건을 해결한 경력 40년 강력계 형사 강찬기 님의 아들로 희대의 탈옥수 신창원을 검거한 최초의 장기미제팀 팀장이자 최초의 의료 수사팀 팀장으로 아버지와 아들의 형사 경력이 도합 76년인 강윤석 형사님을 만났어요. 7년 전 잔소리와 조언에 대해 이야기했던 불광천 레전드 듀오 송수영, 이승주 님이 유퀴즈 최초 세 번째 출연을 했어요. 직장 및 가정에서 성공적으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대화의 모든 것을 알려줄 대화의 고수 박재연 님도 만났어요. 도합 124년의 배우 박근형 & 손숙 님과도 대화를 나누었어요. 어떤 이야기들을 했는지 확인해 보세요.
첫 번째 주인공 : 강윤석
처음으로 만난 분은 미제 사건 해결사 강력계의 살아 있는 전설 강윤석 형사님이었어요. 1989년에 입직한 35년 차 경찰관이라고 해요. 업무 자체가 무거운 일을 많이 하다보니 휴식할 때 연예 프로를 보면서 힐링을 했기 때문에 유재석과 조세호를 보고 싶어 했다고 하네요. 강윤석 형사님은 신창원 포함 검거한 강력범만 1,000명 이상이고 국내 최초 장기미제팀 팀장으로 59건의 사건을 해결했다고 해요. 1989년 강도살인치사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수감 중이던 신창원은 화장실 환풍구를 통한 탈옥을 계획하고 1997년 1월 20일 부산교도소를 탈옥했어요. 당시 현상금이 국내 최고 금액인 5,000만 원이었다네요. 907일 간 4만 km의 탈주극을 벌였어요. 강윤석 형사님은 서울청 특별 수사본부 팀장을 맡았다고 해요. 당시 투입된 경찰만 97만 명이었다네요. '신창원 신드롬'이라는 붐이 일어나며 큰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어요. 경찰이 신창원을 번번이 놓치며 많이 힘들었었다고 하네요. 결국 시민의 제보로 탈옥 907일 만에 검거가 되었어요. 형사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너무 재밌다고 했어요. 나쁜 놈들을 두들겨 패는 모습을 보면서 대리 만족을 한다고 하네요. 미제 사건 해결사라는 별명도 있다고 해요. 어떤 사건들을 해결했는지 들려줬어요. 다양한 사건을 해결했지만 지금도 꼭 해결하고 싶은 사건이 있다고 하면서 어떤 내용인지 알려줬어요. 형사님의 끈질긴 집념은 아버지에게 물려받았다고 해요. 경찰 2기생으로 수사계에 입문해 40년 8개월로 최장수 형사 기록도 갖고 계시다고 하네요. 근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을 해결하시며 1970년 제4회 경찰 최고 영예의 상인 청룡봉사상을 수상했어요. 어릴 때부터 그런 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자연스럽게 경찰이 되었다고 하네요. 이후 강윤석 형사님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청룡봉사상을 받았다고 해요. 부자가 수상을 한 것이 처음이어서 아버지가 정말 좋아하셨다네요. 2014년 의료 사고로 신해철이 사망한 이후 의료 분야 수사를 하는 전문 수사팀을 만들게 되면서 지금까지 팀장을 하고 있다고 해요. 10년간 해결한 사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의료 사건에 대해서도 들려줬어요. 현재 퇴직을 6개월 앞두고 계시다고 해요. 퇴직을 하면 푹 자는 것이 소원이라고 했어요.
Q. 이것은 1807년 영국의 교도소에서 죄수들이 야자열매를 공 삼아 벽을 치며 놀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구석에 밀어넣다'라는 뜻을 가진 실내 스포츠인 이것은 무엇일까요?
A. 스쿼시
두 번째 주인공 : 송수영 & 이승주
두 번째로 만난 분은 길에서 우연히 만난 초등학생이 스무 살이 돼서 돌아왔어요. 잔소리와 조언 명언의 주인공 송수영, 이승주 님이었죠. 2018년 초6, 2020년 중2, 2025년 20세로 유퀴즈 최초 세 번째 출연하게 되었어요. 스무 살이 되면서 어떤 것들이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 들려줬어요. 아르바이트를 하려고 준비를 하고 있는데 아직 채용은 되지 못했다고 하네요. 3월에 입학을 앞두고 쉬고 있는 중이라네요. 송수영은 실용무용과, 이승주는 간호학과에 들어간다고 해요. 송수영은 춤을 추는 무대도 보여줬어요. 대학 가면 하고 싶은 로망에 대해서도 들려줬어요. 이승주는 노래방을 가는 것을 좋아한다며 조세호와 함께 조남지대의 <거기 지금 어디야>를 듀엣으로 부르기도 했어요. 조세호의 목소리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가 선택한 단어로 유재석이 웃다가 눈물까지 보이게 만들기도 했죠. 10년 뒤 서른이 되었을 때는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었어요. 유퀴즈 프로그램이 지속된다면 다시 만나기를 약속하기도 했어요.
Q. 2025년은 을사년 푸른 뱀의 해입니다. 다음 중 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세요.
- 뱀은 항상 눈을 뜨고 있다
- 뱀이 혀를 날름거리는 이유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 능구렁이는 다른 뱀을 잡아먹어 국내 뱀 중의 왕이라 불린다
-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경문왕은 뱀을 가슴에 덮고 자는 습관이 있었다
A. 2번
세 번째 주인공 : 박재연
세 번째로 만난 분은 20년 동안 대화를 연구한 대화의 고수로 다양한 기업과 대학의 대화 멘토로 활동 중인 대화 전문가 박재연 님이었어요. 대화를 연구하게 된 계기부터 들려줬어요. 첫 직장이 승무원이었다고 해요. 당시 있었던 일을 통해서 어떻게 말하고 들어야 하는지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고 하네요. 20년 가까이 공부를 한 결과 사람들이 나쁜 말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줬어요. 화가 나게 되면 공감과 문제 해결 능력이 사라지면서 무의식적으로 말하게 되는데 이때 6가지의 실패한 대화가 나온다고 해요. 판단, 비난, 강요, 비교, 당연시, 합리화 이렇게 6가지라고 하네요. 직장에서 대화를 잘하는 방법과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려줬어요. 회사에서 듣기 싫은 말에 대해서도 알려줬어요. 대화를 잘하는 방법은 '네 문제는 이거야'가 아닌 '나에게 중요한 걸' 표현하는 것이라고 했어요. 어떤 훈련을 하면 좋은지 알려줬어요. 비난이 아닌 원하는 것을 말하라고 했어요. 불편한 대화가 힘든 사람이 어떻게 대화를 시작해야 하는지도 설명해 줬어요. 행복한 사람들의 말 습관에 대해서도 알려줬어요. 행복한 사람은 자신의 생각 인지를 조절하는 전략이 긍정적이라고 했어요. 상실과 아픔을 긍정적으로 재처리한다면 대화를 잘할 수 있다고 하네요. 불행한 사람의 말 습관에 대해서도 설명해 줬어요. 왜곡된 신념을 가질수록 대화는 어려워진다네요. 상대방의 말을 왜곡해서 듣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줬어요. 어린 시절부터 대화를 잘한 것은 아니었다고 해요. 학창 시절에 겪은 경험으로 말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하네요. 가장 기억에 남는 사례도 들려줬어요.
Q. 이것은 원래 거북이 등의 무늬처럼 쩍쩍 갈라진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었는데요. 여기서 유래되어 오늘날 친하게 지내는 사이에 틈이 생긴 것을 '관계에 이것이 생기다'라고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A. 균열
네 번째 주인공 : 박근형 & 손숙
네 번째로 만난 분은 연기 경력 도합 124년, 대학로의 방탄노년단 박근형, 손숙 배우님이었어요. <장수상회>라는 연극을 하면서 '방탄노년단'이라는 별명을 손숙이 스스로 만들어 붙였다고 해요. 두 분은 <세일즈맨의 죽음>이라는 연극을 함께하고 있다고 하네요. 세일즈맨 '윌리'가 산업화 시대에 가정을 이끌어가다 가족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비극이라고 해요. 공연 시간이 무려 170분이라고 하네요. 두 분이 연극을 함께 하는 것은 처음이라고 해요. 손숙은 눈이 나빠져서 글씨를 읽지 못해 녹음한 대사를 들으면서 외운다고 했어요. 박근형의 연극 노트도 보여줬어요. 박근형 배우는 아들에 이어 손자까지 3대 배우 집안이에요. 손자 박승재는 현재 같이 연극을 하고 있다네요. 손숙 선생님 손녀 하예린 씨도 이번에 넷플릭스 <브리저튼4>에 주인공으로 뽑혔다고 해요. 연기 외에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도 들려줬어요. 빼놓을 수 없는 <꽃보다 할배> 이야기도 했는데 벌써 12년이나 되었다고 해요. 당시의 추억에 대해서도 들려줬어요. 두 분이 마음속에 새기고 평소에 생각하는 문구라든가 인생의 지침으로 삼는 이야기도 알려줬어요. 유품 정리하는 것이 힘든 것 같다고 느껴 모아둔 사진 등을 이미 다 정리했다고 하네요. 하루 일과는 어떻게 보내는 지도 들려줬어요. 손숙 배우는 무대에서 못 죽으면 객석에서 죽으면 좋겠다고 했어요. 박근형 배우도 남은 시간에 많은 작품을 할 수 없을 것 같아서 마음이 급해진다고 하네요.
Q.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은 연극계 3대 상인 퓰리처상, 뉴욕 연극 비평가상 그리고 이 상을 받았습니다. 브로드웨이의 연극배우 앙투아네트 페리의 별명에서 이름을 따 와 이름 붙여진 이 상은 무엇일까요?
A. 토니
'보고듣고 > TV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퀴즈 온 더 블럭 279회 문제 모음] 이슬람의 전통 무늬를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해 한 다리로 균형을 잡고 반대쪽 다리는 뒤로 들어올리는 발레 동작은? (0) | 2025.02.06 |
---|---|
[이십세기 힛-트쏭 250회] 다이어트는 오늘부터! 급찐급빠 기원 히트송 TOP 10 (0) | 2025.02.01 |
[이십세기 힛-트쏭 249회] 신의 한 수!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된 히트송 TOP 10 (0) | 2025.01.25 |
[유퀴즈 온 더 블럭 277회 문제 모음] 조선 시대 성균관 유생들에게 황감제라는 시험을 치르게 하고 나눠준 것은? (0) | 2025.01.23 |
[이십세기 힛-트쏭 248회] 세월을 비껴간 냉동 성대 가수 힛트쏭 TOP 10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