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고/각종 정보 모음

[패딩 세탁법] 겨울옷 트렌드를 선도하는 롱패딩, 쇼트패딩 정보의 모든 것

반응형

[패딩 세탁법] 겨울옷 트렌드를 선도하는 롱 패딩, 쇼트 패딩 정보의 모든 것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게 도와주는 <패딩> 모두 하나 정도는 가지고 있죠?? 쇼트 패딩이 유행을 하더니 롱 패딩이 유행을 하고 다시 쇼트 패딩이 유행을 하면서 트렌드는 돌고 돌지만 패딩은 다들 입고 다니는 것 같아요. 바깥을 나가보면 10명 중 8~9명은 패딩을 입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는 것 같아요. 저는 처음 롱 패딩을 입었을 때는 사실 좀 불편하다고 생각했는데 확실히 따뜻하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는 롱 패딩만 찾게 되더라고요.

 

 

 

이처럼 많이 입고 다니는 패딩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패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한 번 알아보려고 해요. <패딩>의 의미와 종류, 충전재의 종류, 세탁법 같은 관리 방법을 알아볼게요.

 

<패딩(padding)>을 충전재가 들어간 재킷을 말할 때 주로 사용하는데 원래 의미는 '옷을 만들 때 솜이나 깃털 따위를 넣어 누비는 방식'을 일컫는 말이라고 해요. 정확한 영어 표현은 다운 재킷(down jacket), 패디드 재킷(paddedd jacket), 퍼프드 재킷(puffed jacket)이라고 하네요. 이런 패딩을 대중화한 곳은 명품 스포츠 브랜드로 알려진 몽클레르(Moncler)라고 해요. 산악, 캠핑 장비 업체로 시작해 공장 노동자들을 위해 만든 패딩이 효율성 면에서 유명해지면서 산악 등반가, 알파인 스키 대표팀의 옷을 만들었다고 해요. 결국 패딩이 점점 유명해지고 지금은 다양한 패션 브랜드가 패딩을 만들게 되었다고 해요.

 

 패딩의 종류

패딩 속에는 오리나 거위 털이 얽혀 있는데 그 사이의 공기층이 몸에서 빠져나가는 열을 막아주는 원리로 종류도 많고 디자인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어요.

  • 쇼트 패딩 : 가장 많이 입는 패딩으로 허리 높이까지 오는 제품이에요.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만큼 디자인이나 색감도 다양해요.
  • 롱 패딩 : 운동선수나 연예인들이 롱 패딩을 입는 모습이 노출되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어요. 몸 전체를 감싸주어 보온성이 장점으로 부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구매를 했죠. 활동성이 제한돼 몸이 둔해지며 부피가 커서 운반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어요.
  • 패딩 코트 : 패딩보다 클래식한 연출을 원하지만 추위는 막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해요. 일반 패딩보다 충전재가 적어서 보온력은 떨어지지만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요.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입는 형태라고 해요.
  • 패딩 조끼 : 조끼를 패딩으로 만들어 활동성이 가장 우수해요. 팔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고 몸은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어요. 두꺼운 외투 안에 입거나 얇은 재킷 밖에 입을 수도 있어요. 움직임이 많은 일을 하거나 조깅 또는 산책 등 스포츠 활동을 할 때 유용해요.

 패딩 충전재

충전재는 패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어요. 어떤 소재로 채우는지에 따라서 보온성과 복원력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천연 충전재로는 오리나 거위 같은 물새의 가슴 솜털과 깃털이 있어요. 거위의 솜털이 오리보다 보온성이 좋아서 가격이 비싸요. 오리털로 만든 패딩을 덕 다운, 거위 털로 만든 패딩을 구스 다운이라고 해요. 인공 충전재는 일반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 솜을 이용해 만드는데 가격은 저렴하지만 보온성과 복원력은 떨어진다고 해요. 점점 연구를 통한 신소재가 개발되면서 보온성은 높이고 가격은 저렴한 제품이 계속 나오고 있어요. 거기다 천연 소재 털을 얻기 위해서 하는 행위가 동물 학대라는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합성섬유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 패딩 세탁법

패딩을 세탁할 때는 드라이를 맡기면 복원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물세탁을 하는 것이 좋아요.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풀어 손세탁하거나 오염된 부분만 솔이나 손으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세탁기를 사용할 때는 외부에 달린 털을 제외하고 섬유유연제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세제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꼼꼼히 헹군 뒤에 그늘에서 앞뒤로 잘 건조한 다음 충전재가 잘 복원되도록 손이나 막대기로 두드려줘요. 보관할 때는 압축팩 같은 곳에 넣으면 복원력이 손상되기 때문에 방습제와 함께 걸어두는 것이 좋아요. 공간이 부족하다면 접어서 보관해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