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고/각종 정보 모음

[록스타 원칙(rockstar principle)] 탁월한 능력을 갖춘 한 명의 인재가 월등히 높은 성과를 내는 것

반응형

[록스타 원칙(rockstar principle)] 탁월한 능력을 갖춘 한 명의 인재가 월등히 높은 성과를 내는 것


<록스타 원칙> 은 탁월한 능력을 가진 한 명이 평균 구성원들보다 월등하게 높은 성과를 내는 것으로 뛰어난 성과를 내는 인재 한 명이 기업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에요. 여기서 유명 뮤지션을 뜻하는 록스타는 '대단한 사람', '독보적인 인물' 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요. 이 원칙은 1968년 프로그래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가 기반이 되었다고 해요.





당시 연구원들은 제각각의 능력을 지닌 연구 대상들에게 일정 과제를 제시했으며, 이후 최고 점수 기록자와 최저 점수 기록자 간 능력차가 무려 20~30배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해요. 이 원칙은 모든 기업에 통용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업보다 개인의 창의성, 능력이 중시되는 정보 기술 분야에 더 적합하다고 해요.



특히 소프트웨어 업계에서는 보통의 능력을 가진 엔지니어 10~25명을 고용하는 것보다 1명의 록스타를 거액에 영입하는 것이 낫다는 믿음이 있다고 해요.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도 '탁월한 SW 개발자 한 명은 1만 명 이상의 역할을 해낸다' 고 말하며 록스타 원칙을 중시했어요. MS에서 중역으로 일했던 리드 헤이스팅스는 1997년 넷플릭스를 창업할 때 록스타 원칙을 적용해 인재를 평가했다고 해요. 그 결과 20여 년 만에 시가 총액 1위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우뚝 설 수 있게 되었죠. 지난해 '가장 높이 평가받는 기업' 1위에 오른 넷플릭스는 그 비결에 대해 <록스타 원칙> 으로 인재 밀도를 높인 덕분이라고 밝혔어요.


728x90
반응형